약초의 오남용은 금물 / 김만배 경남약초연구관/ 2015. 10. 22.ahr. 아침마당
약초하고 대화하는 시간을 가지자.
식물을 알아야 대화가 된다.
대사 작용에서 나온 생물을 대사산물이라 한다.
제2차 대사산물이 약이 된다.
약초가 말을 하면 알아들어야 한다.
가창오리는 저녁에 비상을 한다.
충돌이 없이 비상하는 이유는 본능에 의해서이다.
* 약초도 생긴 대로 논다.
우슬 = (소의 무릅) (경북 - 말 정갱이) (제주도 - 몰 모자비)
우슬은 무릅에 좋은 약이다.
옛날부터 내려오던 것을 약으로 만들어 먹으면 민간요법이다.
옛날부터 내려오지 않던 약을 만들어 먹으면 민간요법이 아니다.
약초는 내가 좋습니다. 라고 말을 한다.- 그래야 번식이 가능하다.
석류- 여성의 나팔관 처럼 생겼다. 석류의 알은 여성의 난포 같이 생겼다.
석류는 여성에게 좋은 식물이다.
무화과- 항문과 닮았다. 치질에 아주 좋은 약이 된다. 하얀 즙은 염증치료제이다.
무화과 액은 친환경 농약이 된다. 장염에도 좋은 약이다.
옥수수 - 이빨같이 생겼다. 잇몸질환에 좋은 약이 된다.
옥수수수염- 이뇨작용에 좋다. 당뇨환자가 먹는 약이다.
목통 (으름덩쿨) - 코가 막힐 경우 막힌 곳을 뚫어준다.
고삼생은 열매를 차로 만들어 먹는다.
* 약초는 색깔이 있다.
하얀색은 - 피부, 검정색은 - 콩팥, 빨강색은 -피를 좋게 한다.
홍화 (붉은색) - 혈액에 좋은 약이다. 어혈을 풀어준다.
울금 (노란색) - 위를 돕는 약이 된다.
차멀미하는 사람은 카레를 먹어라
도라지(흰색) - 폐 기관지 피부에 좋은 약이다.
가래 ,천식, 기관지 질환에 좋은 약이다.
278가지 처방에 도라지는 꼭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 유망한 재배 식물이다.
까마중 - 만성피로 간질환 간경화에 좋다.
한련초(검정색)- 신장에 좋다.
만성피로 양기부족에 좋다.
콩팥은 검정색이다.
오골계. 검정콩에 좋은 식품이다.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
* 약초는 자기 이름 대로 살고 있다.
접골나무 = 딱총나무- 뼈를 붙혀주는 나무
오미자 나무 - 5가지 맛으로
달여서 마시면 오장이 좋아진다.
질경이= 생명이 질겨서 질경이다.
환경이 안 좋은 논두렁이나 운동장 등지에서 자란다.
이뇨작용에 좋은 약이다.
속 썩은풀= 배르테린성분이 많아서 열 내리는 데 사용하는 약이다.
화병 위장병 갱년기 장애에 좋다.
아주 쓴약이다.
망개나무(청미래 넝쿨)- 중금속에 오염된 사람이 먹어야 한다.
*약초는 깡으로 산다.
쇠비름= 제독, 종기, 피부병에 특효
쇠비름은 잘라도 안 죽는 풀이다.
기질이 안 썩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는 식물이다.
자주색이고 작은 것이 더 좋다.
인삼= 기질은 양분 섭취가 빠르다.
산삼= 기질은 양분 섭취가 늦다- 원기회복
부추 = 밑 부분에서 잘라야 잘 자란다.
만리장성을 만들 때 먹었던 식품이었다.
함초= 장에 좋다. 갯펄의 미네랄을 흡수한다.
장, 혈액순환에 좋다.
감초= 몽골에서 많이 생산되는 약초다
약방에 감초이다. 모든 약에 들어간다.
추운 사막에서 자란다.
낮에는 뜨겁고 밤에는 추운데서 자란다.
감초는 일교차가 심한 곳에서 자라기에 당성분이 많다.
감초는 뿌리를 사용한다.
자연으로 가면 병이 자연적으로 고쳐진다.
감초는 강한 약성을 낮춰주는 성질이 있다.
대추는 약한 약성을 높혀주는 성질이 있다.
솔잎의 밑 부분이 발모촉진제 이다.
'이런 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수목원 겨울철 열매 모음(2) (0) | 2017.12.29 |
---|---|
경남수목원 겨울철 열매 모음(1) (0) | 2017.12.29 |
독초 구분법 (0) | 2017.07.09 |
[스크랩] 피로를 푸는 간단한 동작 (0) | 2016.02.05 |
금강입술대고둥 (0) | 2015.11.25 |